"We Know IT ! Tech. Trends. Truth."

분류 전체보기 4

말에는 멜로디가 있다 ― 피치(Pitch) 조절로 감정을 말에 담는 법

🎙️ 발표를 잘 마쳤는데, 왜 전달력이 약하다고 할까?"오늘 발표 잘하셨어요. 그런데… 약간 단조로웠어요."그날은 정말 최선을 다해서 준비하고 말도 틀리지 않고 정확히 했는데,돌아온 피드백은 딱 한 마디였습니다.“단조로웠다.”그 말을 듣고 나서 솔직히 좀 억울했어요.'내가 뭐 잘못 말했나?' 싶었고요.하지만 나중에 제 발표 영상을 다시 보니까... 알겠더라고요.말이, 너무 평평했어요.감정도 없고, 강조도 없고, 그냥 정보만 주르륵 나열한 느낌.그제야 깨달았습니다.말은 정보 이전에 '느낌'이 전달돼야 한다는 걸요.그리고 그 느낌은 피치, 즉 말의 높낮이에서 시작된다는 걸요.📘 카네기의 조언: "높낮이가 없으면 청중도 떠난다"《The Art of Public Speaking》의 4장 제목은 이렇습니다.E..

말의 임팩트를 키우는 법 ― 핵심을 찌르는 강조의 기술

🔥 왜 어떤 사람 말은 귀에 박히고, 어떤 사람 말은 기억이 안 날까?“야, 그때 발표 진짜 좋았어!”“어떤 내용이었는데?”“음... 뭐였더라? 하여튼 잘했어, 말이 임팩트 있었어!”이런 얘기, 들어보신 적 있으세요?사람들이 어떤 발표나 강의를 떠올릴 때, 내용보다 말투나 어떤 한 문장만 기억하는 경우가 많아요.“와, 저 말 멋있다!” 싶었던 순간.혹은 한 문장만으로 전체 발표가 요약되는 것처럼 느껴질 때.그게 바로 말의 강조 기술이에요.📘 카네기의 조언: "말의 힘은 강조에 달려 있다"데일 카네기는 이 챕터에서 단도직입적으로 말합니다.“말은 모든 단어가 같은 무게로 전달되면 아무 의미도 없다.”모든 단어를 똑같은 톤, 똑같은 중요도로 말하면 청중은 어디에 집중해야 할지 모릅니다.결국 아무 것도 남지..

지루한 말투는 죄입니다 ― 말의 억양과 리듬이 사람을 끌어당긴다

🔥 발표는 했는데, 왜 아무도 날 안 볼까?"이렇게 중요한 말인데... 왜 다들 시계를 보지?"회사의 전사 발표 날, 나름 밤새 준비해서 자료를 만들고 정리까지 완벽했어요.근데 발표 도중 사람들이 딴청을 부리거나 눈을 감고 있는 걸 봤을 때, 진심으로 멘붕이 왔죠.심지어 앞줄에 있던 과장님은 나를 보지 않고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리더라고요.속으론 울고 싶었어요. 내가 이렇게까지 준비했는데, 왜 아무도 집중하지 않을까?그날 이후, 저는 발표 내용보다 더 중요한 게 있다는 걸 깨달았습니다.말투.리듬.억양.그리고, 지루하지 않게 말하는 기술.📘 카네기의 조언: "지루한 말투는 죄다"데일 카네기는 이 챕터 제목부터 세게 나갑니다.The Sin of Monotony.(단조로운 말투는, 죄악이다.)그는 이렇게 말해..

사람 앞에서 말할 때마다 떨리는 나에게 ― 진짜 말하기 자신감, 어떻게 기를 수 있을까?

🔥 나만 이런 거 아니었어?말을 잘하고 싶은데, 사람들 앞에만 서면 입이 잘 안 떨어지는 그 느낌.공감하시죠?그날도 그랬어요. 발표 시작 10분 전, 저는 회사 화장실 세면대 앞에 서서 거울만 멍하니 보고 있었어요.손바닥엔 식은땀이 맺혀 있었고, 심장은 터질 듯이 뛰었고요. PPT 슬라이드는 몇 번을 봐도 머릿속에 안 들어오고, 아까 외웠던 멘트도 어디로 사라졌는지 찾을 수가 없더라고요.괜히 정수기 앞에서 물도 안 마시면서 서 있다가, 마음속으로 이렇게 중얼거렸습니다.“아 제발... 오늘 발표만 무사히 끝나면 진짜 다음부턴 발표 안 한다...”근데 말이죠, 발표 끝나면 또 언젠가 발표할 일이 생겨요.그럴 때마다 또 떨리고, 또 미루고, 또 후회하고…이걸 반복하다가 문득 이런 생각이 들었어요.“아니, 이..